본문 바로가기
심리학공부

[논문리딩] 상담심리학의 현재와 미래과제

by WINWINWIN 2021. 10. 21.
반응형

이상민(Sang Min Lee),김은하(Eunha Kim),김지연(Ji-Yeon Kim),and 선혜연(Hye-Yon Seun). "상담심리학의 현재와 미래과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0.3 (2018): 463-474.

 

 

 

원고의 목적

 

: 사회에서 상담과 심리치료에 관한 관심과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관련 주제, 제도 등이 마련되지 않아 현장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음. 이에 따라 상담의 현재 과제와 미래과제에 대해 살펴봄.

 

기고 논문의 문제 제기

 

상담윤리 : 상담자들은 내담자의 정보 보호 및 관리의 측면에서 윤리적 갈등을 겪음.

상담 효과 입증 : 상담에 대한 사회적 관심 증대로, 효과 입증에 대한 요구 증대.

상담정책 : 상담자의 질적 수준 확인할 수 있는 자격제도가 체계적이지 않음.

 

상담심리학의 현재 과제

 

상담자의 진로 및 처우 문제

: 상담을 직업으로 하여 생계를 유지하여야 하는 학생들에게는, 노력에 대한 현재의 보상이 부족함

: 안정된 상담 분야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수는 소수이며, 이는 공급이 수요를 앞서가기 때문

: 수요의 문제 중 서비스 갭은 심리적 어려움을 겪으면서도 상담을 찾지 않는 현상 의미하며, 이는 상담자의 전문성 문제와 관련되어 있음.

상담자의 전문성 문제

: 수요자 관점에서 상담자의 전문성을 평가할 수 있는 객관적 지표 없음.

: 국가 공인 자격 아닌, 민간 자격증의 난립이 수요자의 평가에 혼란을 줌.

: 양적 확산을 통해 상담 인식 향상을 꾀할 것인지, 소수의 질 높은 상담을 통해 인식 향상을 꾀할 것인지 고민해야 함.

상담자의 윤리 문제

: 진로 상담자와 전문상담교사, 온라인 상담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상담 장면에서 이에 맞는 윤리 강령이나 구체적인 지침이 마련될 필요가 있음.

상담자의 전문성 확보도 중요하지만, 이에 앞서 행정적이고 정책적 해결을 통해 힘을 얻을 필요

 

상담심리학의 미래 과제

 

상담교육 인증제도

: 과하게 보급되고 있는 상담 학위 과정의 개설을 지양해야 하며, 상담교육 인증제도를 시행할 필요가 있음

전문성의 객관적 측정이 가능한 지표(자격)

: 상담심리 관련 국가 자격증 도입, 자격법 제정, 상담활동 등에 대한 행정규정 시행 등 필요

: 상담수련과 관련한 윤리교육이 더욱 강화되어야 함.

상담의 효과성 입증

: 현재 효과성 입증에 관한 연구가 매우 부족한 실정으로, 관련 연구는 더욱 필요할 것으로 보임.

융복합 기술과 연구

: 한국의 상담 연구는 상담이라는 한 분야에 국한되어 있음.

: 다른 분야와의 협력을 통한 시너지 창출을 위해 융복합 기술과 연구 필요.

개별 상담자를 보호할 수 있는 시스템 보완 필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