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공부

가족상담 - 사티어의 경험적 가족상담

by WINWINWIN 2022. 5. 9.
반응형

 학교에서 가족상담 수업을 들으며 사티어 경험적 가족상담 자료를 만들 기회가 있었다. 사실 임용 공부로 먼저 접한 가족상담이었고, 학교에서 수업을 듣는 것이라서 수월하게 자료를 만들 수 있겠다고 생각했으나..! 읽어도 읽어도 이해가 안 되는 상황에 직면..! 자료 만드는데만 일주일이 걸린 것 같다.. 그래도 경험적 가족상담에 대해 깊은 이해를 가질 수 있어 좋았던 시간이었다..(또르륵..)

 혹시나 경험적 가족상담에 대해 공부하는 학부생이 있다면 조금이나마 도움을 주기위해 자료를 공유해본다.. :D

경험적 가족상담
사티어 경험적 가족상담

 자료는 정문자 선생님의 가족치료의 이해 3판과 인터넷 지식 백과 등을 이용하여 만들었다.

 발달배경, 주요 개념 3가지와 치료 목표와 과정, 치료자의 역할과 기법으로 나뉘어 있다.

경험적 가족치료 발달배경
경험적 가족상담 발달배경

 경험적 가족상담(가족치료)는 인본주의 심리학과 게슈탈트, 현상학의 영향을 받아 발달했다.

 경험적 가족치료를 말할때 가장 중요하게 살펴봐야 하는 것은 가족을 '개인의 집합'으로 보았다는 것이다.

 전략적 가족치료, 미누친의 구조적 가족치료와 달리 가족 전체나 체계보다는 개인을 중시했다는 점이 타 이론과의 차별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점은 다세대 가족상담의 보웬과 비슷한데..

 경험적 가족상담(사티어)과 다세대 가족상담(보웬)은 아주 큰 차이가 있다. 바로 경험적 가족상담은 감정, 정서를 중시하였고 다세대 가족상담은 인지, 사고를 중시하였다는 점이다.

 경험적 가족치료 대표학자는 위터커(휘태커)와 사티어가 있다. 위터커와 사티어가 가장 차이를 보이는 부분은 바로 상담자가 가족과 어떤 관계를 맺는가이다. 사티어와 달리 위터커는 상담자와 가족의 개인적 만남을 강조했는데 상담자가 가족과 친밀한 관계를 맺고 상담 이외에도 개인적 만남을 가지는 것이 치료에 도움이 된다고 주장하였다. 

 우리가 공부하는 대부분의 이론과 기법은 사티어의 이론이다. 

 경험적 가족 상담의 주요 개념은 세 가지이다. ① 자아 존중감 ② 의사소통 유형(대처유형) ③ 가족규칙

자아존중감
자아존중감자아존중감

 위 자료는 주요개념 중 자아 존중감에 대한 내용이다. 아마 읽어보면 다들 이해하리라 믿는다. 중요한 점은 자아존중감은 자기, 타인, 상황의 세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이다.

의사소통 유형의사소통 유형
의사소통 유형

 다음은 의사소통 유형(대처유형)이다. 앞서 살펴본 자아존중감의 3가지 요소 중 한 요소라도 무시되면 역기능적 의사소통 유형을, 모두 존중되면 기능적 의사소통 유형을 보이는데. 각 유형에 따라 강점을 반영한 상담이 중요하겠다.

가족규칙
가족규칙

 마지막은 가족 규칙이다. 비합리적 가족규칙은 자아존중감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수정되어야 하는데, 규칙은 3단계를 통해 지침으로 변화할 수 있다. 우리 가족이 지닌 비합리적 가족규칙이 무엇인지 살펴보면 좋을듯하다. 

 경험적 가족치료의 치료 목표는 앞서 살펴본 3가지의 주요 개념을 효과적, 기능적으로 바꾸는 것이다. 자아 존중감을 높이고, 의사소통 양식을 일치형으로 만들며, 가족규칙의 합리적, 인간적으로 만드는 것이다.

경험적 가족치료 치료 목표
경험적 가족치료 치료 목표

 치료자의 역할은 반맨이 3C(유능, 자신감, 일치)로 정리하였는데 이 부분은 따로 수록하지 않는다..

 기법은 너무나 유명한 빙산 탐색기법, 원가족 도표, 가족 조각 등이 있다.

빙산탐색기법
빙산탐색기법

 사티어는 개인 경험의 다양한 수준을 빙산에 비유하였는데, 개인 경험의 대부분이 수면 아래에서 경험되기 때문에 이 부분을 탐색해서 2, 3차 수준의 변화를 목표로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빙산 탐색 과정을 통해 내담자는 기대를 표면화하고 저버리게 되고 부모로부터 충족되지 않았던 아동기 열망을 다른 방법으로 실행하게 된다.

빙산치료기법
빙산치료기법

 빙산 탐색과정은 위 이미지와 같이 질문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미지의 비고는 의사소통유형별 빙산의 어느 부분에 머무는지를 기재해놓은 표이다.

내담자 원가족 도표
내담자 원가족 도표

 다음은 원가족 도표(내담자 원가족 도표)이다. 우리가 흔히 아는 가계도와는 사뭇 다른데, 경험적 가족치료에서는 18세 이전에 스트레스를 경험한 상황을 생각하며 관계를 표시하고, 구성원의 특성, 대처 유형 등을 표시하여 가족의 역동성을 이해하고 평가하게 해 준다.

가족조각기법
가족조각기법

 가족 조각 기법 역시 유명한 경험적 가족치료의 기법인데, 가족 중 조각가를 한 명 선정하여 특정 시점의 가족 모습을 조각하게 하고 구성원이 그 과정을 통해 자신들의 내면적 감정에 접하게 하는 기법이다.

나의 생활연대기
나의 생활연대기/나의 영향권 이해(영향권의 수레바퀴)

  나의 생활 연대기와 나의 영향권 이해 기법은 위 이미지를 통해 이해하면 될 것 같다.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