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9

[논문리딩] 대학생 생활스트레스 조절을 위한 비대면 마음챙김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차남희 ( Cha Nam-hee ),and 김희수 ( Kim Hee-sue ). "대학생 생활스트레스 조절을 위한 비대면 마음챙김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상담학연구 사례 및 실제 5.2 (2020): 41-61. ◑ 원고의 목적 및 문제 제기 :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한 언택트 라이프의 확산은 학교와 상담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여 향을 미치고 있음. 따라서, 상담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비대면 프로그램의 개발과 연구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됨. : 대학생의 스트레스는 정신건강을 위협하는 주요 요인이며, 이를 어떻게 대처하는가에 따라 학교와 일상생활의 적응력이 좌우됨. : 스트레스 상담기법으로 최근 마음챙김이 부상하고 있음. 마음챙김은 지금 여기에 주의를 기울이며 매 순간을 비 판단적으로 알아.. 2021. 11. 3.
[학점은행제] 최단기간 심리학 학사 취득 나는 운이 좋게 11월 첫 주 평생교육원을 알아보고 상담을 받았다. (만약 한달이라도 늦었다면, 학사 취득까지 반 년 이상의 시간이 더 들었을지도 모르겠다..) 전화상담 후 더 고민하지 말고 일단 시작하자라는 생각을 했고, 바로 수강신청 후 수업을 들었다. Ⅰ. 평생교육원 선택 나는 빨리 수업을 시작하고 싶은 마음에 대충 알아보고 수업을 들었지만.. 이 글을 읽는 여러분들은 신중히 선택하길 바라는 마음에 평생교육원 선택에 관한 이야기를 나누어보고자 한다. 내가 선택한 평생교육원은 OO사이버 평생교육원이었다. 선택이유는.. 따로 없었다.. 그냥 저렴했고, 제일 처음 본 사이트였다.. 어디든 비슷하겠지? 라는 생각을 하고 들었던 것 같다. 그런데, 생각보다 후회를 많이 했다. 강의 퀄리티가 좋지 않았기 때문.. 2021. 10. 26.
[논문리딩] 프랜차이즈 상담센터에서 상담자가 경험하는 역할갈등 김재훈(Jae Hoon Kim),서영석(Young Seok Seo),석범진(Beomjin Seok),and 조부휘(Bu Hwi Cho). "프랜차이즈 상담센터에서 상담자가 경험하는 역할갈등."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2.3 (2020): 1297-1323. ◑ 연구의 목적 : 프랜차이즈 상담센터에서 근무하고 있는 상담자들이 어떤 역할 갈등을 겪고 있고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지, 그리고 역할갈등을 최소화 하기위해 무엇이 필요한지 확인하기 위함. ◑ 서론 : 최근 들어 프랜차이즈 형태로 운영되는 상담센터와, 이곳에서 일하는 상담자의 수가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음. 그러나 이곳에서 일하는 상담자의 경험이나 비전공 운영자와의 갈등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임. : 역할갈등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역할갈등이 .. 2021. 10. 22.
[논문리딩] 상담심리학의 현재와 미래과제 이상민(Sang Min Lee),김은하(Eunha Kim),김지연(Ji-Yeon Kim),and 선혜연(Hye-Yon Seun). "상담심리학의 현재와 미래과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0.3 (2018): 463-474. ◑ 원고의 목적 : 사회에서 상담과 심리치료에 관한 관심과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관련 주제, 제도 등이 마련되지 않아 현장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음. 이에 따라 상담의 현재 과제와 미래과제에 대해 살펴봄. ◑ 기고 논문의 문제 제기 ① 상담윤리 : 상담자들은 내담자의 정보 보호 및 관리의 측면에서 윤리적 갈등을 겪음. ② 상담 효과 입증 : 상담에 대한 사회적 관심 증대로, 효과 입증에 대한 요구 증대. ③ 상담정책 : 상담자의 질적 수준 확인할 수 있는 자격제도.. 2021. 10. 21.
마시멜로 실험 그리고 만족 지연 호아킴 데 포사다의 책 '마시멜로 이야기'로 유명해진 마시멜로 실험은 심리학자인 미셸과 연구진이 3~5세 아동을 대상으로 진행했던 실험이다. 실험은 간단하다. 아이들에게 마시멜로 한 개가 있는 접시와 두 개가 있는 접시를 보여주며 선생님은 이렇게 말한다. "여기 마시멜로가 하나 있어, 바로 먹어도 되지만 내가 나갔다 돌아올때까지 먹지 않고 기다리면 두 개를 먹을 수 있단다" 그리고 자리에서 나갔다가 15분 후에 들어온다. 그러면 아이들은 마시멜로를 바로 먹어버리거나, 참고 기다리는 것 중 하나를 선택한다. 미셸을 실험이 끝난 뒤 15년 후에 아이들을 다시 만났는데, 아이들 중 마시멜로를 끝까지 먹지 않고 참았던 아이들은 성장과정도 훌륭했고 대인관계도 좋았으며 학업 성취도도 높았다. 반면 선생님이 나가자마.. 2021. 10. 20.
현실치료 ◑ 인간관 - 현실치료의 중요 이론인 통제이론은 인간의 뇌에서 진행되는 지각을 강조. 인간의 행동은 개개인이 주관적으로 갖는 내적 욕구나 바람에 따라 결정 됨. - 현실치료 상담자는 행동을 통해 인간을 이해하지만 행동주의와 다르게 내담자의 현실이라는 점에 입각해서 생각한다. - 글래서는 인간을 긍정적 관점에서 보았으며 결정론적 입장을 반대한다. 인간은 자신의 행동과 정서에 대해 자기 스스로에게 책임이 있으며 모든 개인은 건강이나 성장의 힘을 갖고 있다. ◑ 주요 개념 1. 기본 욕구 - 소속감 욕구 : 사회집단에 소속하고 싶은 욕구, 직장에서 동료들에게 소속하고 싶은 욕구, 가족에게 소속하고 싶은 욕구 - 힘 욕구 : 성취감, 존중, 능력, 인정등. - 즐거움 욕구 : 흥미, 기쁨, 학습등. 기본적이고 .. 2021. 10. 13.
게슈탈트 심리학 ◑ 인간관 1. 인간은 형상학적, 실존적 조재로서 자신에게 가장 긴급하게 필요한 게슈탈트를 끊임없이 완성해 가며 살아가는 유기체 2. 내담자가 지각하는 현실에 초점을 둠, 개인은 자신의 운명에 책임이 있음 3.펄스의 가정 5 1) 인간은 완성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다. 2) 인간은 자신의 현재 욕구에 따라 게슈탈트를 완성할 것이다. 3) 인간의 행동은 그것을 구성하는 구체적인 구성요소, 즉 부분의 합보다 큰 전체다. 4) 인간의 행동은 행동이 일어난 상황과 관련해서 의미 있게 해석될 수 있다. ('장이론') 5) 인간은 전경과 배경의 원리에 따라 세상을 경험한다. 4. 계산주의 : 인간은 계산적/ 당위주의 : 유연성이 결여 / 상태주의 : 현재 있는 그대로를 인정한다. 5. 치료의 철학적 입장을 상태주의 .. 2020. 7. 26.
개인심리학 대표학자 : 아들러 1. 인간관 : 인간은 누구나 열등감을 느낌,열등감은 극복해야 할 동기로서 기여 : 인간은 나눌 수 없는 존재, 현상학적 존재, 사회적 관심을 받기 위해 노력하는 존재, 목적론적 존재 : 인간을 낙관적으로 봄 : 의식의 힘 강조 : 성적동기가 아닌 사회적 동기에 의해 동기화 : 열등감을 극복하여 자기완성을 추구하는 존재다. : '허구적 최종 목적론' : 오직 한 번뿐인 값진 인생을 가공적 소설을 쓰는 것처럼 의미있게 메워 나가는 것이 우리 각자의 선택이 며 책임. 2. 주요 개념 ① 사회적 관심 : 개인은 집단에 소속되어 사회적 문제의 해결을 추구하는 사회적 존재 : 사회적 관심을 가진 사람은 정신적으로 건강, 행복, 사회에 기여하는 사람 : 부적응한 사람은 자신의 욕구 중심적, 타인.. 2020. 5.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