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학자 : 프로이드
1. 인간관
: 인간은 삶의 본능인 '리비도'를 타고 남
: 본능는 '쾌'를 추구
: 인간은 갈등의 존재(쾌 vs 현실 / 자아 vs 외부 세계 / 적극성 vs 수동성
: 본능적 추동 또는 무의식적 동기에 의해 인간은 행동을 결정
: 인간은 비관적 존재
2. 주요 개념
① 성격구조
: 원초아(id), 자아(ego), 초자아(superego)로 구성
: 자아와 초자아는 의식, 전의식, 무의식으로 구성
: 원초아와 초자아는 과거의 영향으로 형성
② 불안
: 불안의 종류는 3가지
: 현실적 불안( 자아가 현실을 지각하여 두려움을 느끼는 불안 )
: 신경증적 불안 ( 자아와 원초아간의 갈등 불안, 충동 분출 불안 )
: 도덕적 불안 ( 원초아와 초자아간의 갈등 불안, 양심의 두려움 )
③ 방어기제
: 무의식적으로 작동되며 무분별하고 충동적으로 사용될 경우 병리적
: 억압, 합리화, 투사, 부정, 반동형성, 전위, 승화, 퇴행등
④ 심리성적 발달단계
: 리비도 집중에 따라 다섯 단계로 구분
: 구강기(~1세) 지나친 낙관,의존 vs 지나친 비관, 공격성
: 항문기(1~3세) 항문공격 성격 vs 항문 보유 성격(구두쇠)
: 성기기(4~5세) 오이디푸스&엘렉트라, 초자아 형성시기
: 잠복기(6세~사춘기) 성적본능 휴면, 스포츠, 우정관계로 승화
: 생식기(사춘기~) 성행위 추구
3. 상담 목표
: 불안을 야기하고 있는 억압된 충동의 자각
: 자신의 수용 통한 저항의 해결
4. 상담 기법
①자유연상
- 마음에 떠오르는 모든 내용 표현
- 검열과 자기비판 금지
② 꿈분석
- 무의식의 영역에 숨겨진 왜곡되어있는 억압된 내용 찾고 이해
③ 정화
- 히스테리증세는 고통스러운 기억과 연결되는 방출되지 못한 다량의 정서때문에 생김(아동기, 성적인 성질 갖음)
④ 전이와 역전이
- 전이 : 억압되어 무의식 속에 묻어두었는 것들을 치료자에게 표현, 내담자가 상담자에게 부여하는 모든 투사의 총합
- 역전이 : 상담자가 내담자에게 일으키는 전이 현상, 역전이 객관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야 함.
⑤ 저항
- 내담자가 느끼는 불안의 위협이 자아 방어체계 작동, 저항 통해 억압 유지하려고 시도, 저항 극복이 치료의 법칙
'심리학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게슈탈트 심리학 (0) | 2020.07.26 |
---|---|
인간중심심리학_로저스 (0) | 2020.06.23 |
행동주의_파블로프,스키너,반두라 (0) | 2020.06.22 |
분석심리학 (0) | 2020.06.07 |
개인심리학 (0) | 2020.05.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