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실업급여

실업 크레딧 제도 신청해야할까?(국민연금 보험료 지원받기)

by WINWINWIN 2021. 11. 23.
반응형

 

실직을 사유로 실업급여 신청을 하게 되면

실업 크레딧 제도를 신청할지 말지 선택할 수 있다.

오늘은 실업 크레딧 제도에 대해 알아보고 월 얼마정도 납부되는지! 확인해보겠다 :)


Ⅰ. 실업 크레딧 제도란?

 

 실업 크레딧 제도는 실업으로 인해 국민연금 납부가 어려울 때, 구직 급여를 받는 사람을 대상으로 국가에서 국민연금 보험료를 일부 지원하는 제도이다.(희망자에 한함)

 실업 크레딧 제도를 이용하면 연금 납부 부담은 줄고! 납입기간은 늘어나 추후 국민연금 수급 시 이득이 될 수 있다.

◑ 지원 대상 : 2016년도 이후에 구직급여를 받는 사람 중 만 18~60세 미만/ 국민 연금을 한 번이라도 내본 이력이 있다면 신청 가능하다.

◑ 제한 조건 : 상기 조건을 충족하더라도 자산이 많을 경우 제한

◑ 얼마나 지원해주나요? 구직급여를 받는 동안 본인이 납부하는 보험료의 75%를 지원받을 수 있다.

◑ 신청 방법은? 최초 실업급여 신청 시 창구에서 실업 크레딧을 신청하겠냐고 물어본다. 이때 신청한다고 대답!

◑ 이후 절차는? 매달 실업인정받을 때 실업크레딧을 신청하면 된다.

 

실업크레딧 신청
실업 크레딧 신청

위 이미지가 실업인정 신청 시 나오는 홈페이지인데, 여기서 실업크레딧 신청함에 체크되어있는지 확인하면 된다.

 

실업크레딧
실업크레딧

▲ 기타 사항에 대해서는 위 이미지를 참고하면 된다!!


Ⅱ. 월 얼마나 나갈까?!

 

 개인마다 다르겠지만, 기준은 위 이미지에 나와있는 대로 인정소득을 기준으로 보험료가 부과된다고 한다.

 여기서 인정소득은 실직하기 직전에 받았던 3개월간 평균소득의 50%에 해당하는 금액을 기준으로 보험료가 부과된다고 하니 참고하면 되겠다. (최대 70만 원까지 인정)

 예시) 실직 전 급여 140만 원일 경우 50%인 70만 원이 보험료 부과 기준

         국민 연금 보험료율 9% 계산, 매달 납부해야 하는 보험료 63,000원

         실업크레딧 대상자 부담금액은 15,750원

 


이렇게 실업 크레딧 제도에 대해 알아보았다.

나도 신청했었고, 총 7개월 납부하였다.

실업 크레딧 과연 해야 할까!?

다음에 해당하는 사람은 안 해도 된다.

① 국민연금에 대한 기대가 전혀 없는 사람

② 매달 만원의 비용이 부담되는 사람

③ 매달 만원의 비용으로 국민연금보다 더 좋은 수익을 낼 수 있는 사람

하지만,

대부분 위 세 가지 사항에는 해당되지 않으리라.. 생각된다!!

즉, 결론은 안 할 이유가 없다는 것!!

실업급여 신청 시 '실업 크레딧'

꼭 놓치지 말고 신청하자..!!

반응형

댓글